[신화] 사랑의 신, 에로스 큐피드의 화살, 큐피드의 사랑이야기
보통 큐피드, 하면 통통한 아기 천사가 화살을 들고 있는 익살스러운 모습을 떠올리실 텐데요. 이는 헬레니즘 시대가 되며 뒤늦게 나타난 양식으로, 고대 그리스 미술에서는 큐피드가 날개 달린 건장한 미청년의 모습으로 주로 그려집니다. 참고로 큐피드(Cupid)는 로마 신화 속 이름인 ‘쿠피도(Cupido)’의 영어식 발음이며, 우리가 익히 들어본 단어인 에로스(Eros), 아모르(Amor) 모두 신화 속에서 큐피드를 가리키는 말이자, 고대 그리스어와 라틴어에서 욕망을 뜻하는 보통명사입니다. 큐피드는 그리스 로마 신들 중에서도 아주 오래된 신인데요. 기원전 8세기 무렵에 헤시오도스가 지은 서사시이자, 태초에 세상이 만들어지는 이야기인 ‘신통기’에서는 태초에 혼란의 신 카오스가 있었고, 대지와 지옥, 그리고 에..
2022. 10. 8.
[상상력] 신화의 새, 봉황. 고대 역사 속 봉황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봉은 신조(神鳥)이다. 동방의 군자국(君子國)에서 나는데, 사해(四海)의 밖에서 날아올라, 곤륜산(崑崙山)을 지나서 지주(砥柱)에서 물을 마시고 약수(弱水)에서 깃을 씻고, 저녁에는 풍혈(風穴)에서 잔다. 이 새가 나타나면 천하가 크게 태평해진다. - 해동역사 제 27권 / 물산지 2 봉황의 몸의 각 부분에는 다섯 가지 의미가 있는데, 가슴은 인(仁)을 날개는 의(義)를 등은 예(禮)를 머리는 덕(德)을 배는 신(信)을 나타낸다고 한다. 우주 전체를 의미하기도 하는데, 머리는 태양을, 등은 달을, 날개는 바람을, 꼬리는 나무와 꽃을, 다리는 대지에 각기 해당한다. 봉(鳳)자에서 바람 풍(風)자가 나왔다. 본래는 /*prəm/(백스터-사가르의 재구음)으로 발음이 같았기 때문에 바람이라는 의미가 같은 문자에..
2022. 1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