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II. 경영학 (Business Administration)/비지니스학 (Business)

[기업분석] '네이버' 초기 단계 발전과정은 어땠을까? 포털 독점의 문제는?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2. 9. 14.
반응형

[기업분석] '네이버' 초기 단계 발전과정은 어땠을까? 포털 독점의 문제는?

 

네이버는 국내 1위 포털기업이며, 구글검색이 세계적으로 장악하지 못한 몇 안되는 나라가 네이버로 인해 대한민국입니다.

네이버는 어떤 기업이고, 어떻게 성장했을까요?

 

[기업분석] '네이버' 기업정보, 비전? 네이버 초기 단계 발전과정은 어땠을까?
[기업분석] '네이버' 기업정보, 비전? 네이버 초기 단계 발전과정은 어땠을까?

 

NHN 이 네이버로...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오른쪽)와 김남선 최고재무책임자(CFO)

1999년 네이버컴에서 시작해 NHN으로 이름을 바꿨다가 다시 12년 만에 다시 네이버로 돌아온 과정에는 네이버의 벤처신화등 국내 포털업계의 흥망사가 담겨있다.

라이코스와 야후라는 거대 기업이 선점한 국내 포털 시장에 네이버컴으로 출발한 소규모 포털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것은 2001년 9월 사명을 NHN으로 변경하면서부터다.

당시 NHN은 네이버컴이라는 기존 이름이 포털(네이버)과 게임(한게임)의 영역을 대표하기 부족하다는 판단에서 새 이름을 '미래 휴먼 네트워크'(Next Human Network)라는 뜻의 NHN으로 바꿨다. 이는 네이버(Naver)와 한게임(Hangame)을 연상할 수 있는 이름이기도 했다.

NHN으로 사명을 바꾼 네이버는 본격적으로 지식iN, 블로그, 카페 같은 서비스를 시장에 안착시키며 국내 대표 포털로 성장해갔다. 그 중 지식iN 서비스는 국내 최초로 일반인이 묻고 일반인이 답변한다는 개념을 도입한 검색 서비스로 단순히 축적된 자료에 의존하던 기존 검색 방식에 획기적 변화를 몰고 왔다.

 

[기업분석] '네이버' 초기 단계 발전과정은 어땠을까? 포털 독점의 문제는?

 

네이버 플랫폼의 독점화 문제 (출처 : https://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1/10/27/2021102700927.html)

[기업분석] '네이버' 초기 단계 발전과정은 어땠을까? 포털 독점의 문제는?

 

원용진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 학부 교수는 오래 전부터 포털 등 플랫폼 기업들의 문제에 대해 연구해 왔다. 제자인 박서연씨와 함께 2021년 9월 출간한 『메가플랫폼 네이버』는 그런 연구의 결과물이다. 박서연씨가 2018년 12월 쓴 석사학위 논문 '한국 인터넷 경제의 형성과 포털 사이트의 진화 - 네이버의 서비스 확대과정을 중심으로' 역시 그 과정에 있다. 원 교수가 논문의 지도교수였다.

네이버 등 플랫폼 기업들의 문제점을 언급하면, 사람들의 반응은 '편리하게 쓰면 되는 거지, 뭐가 문제냐'라는 게 대다수라고 한다. 원 교수는 "학생들에게 플랫폼 기업의 독과점 문제, 불공정행위, 데이터 수집 등을 얘기해도 당장 너무 편리한데 안 쓸 건 아니지 않냐고 한다"며 "그렇게 나오면 솔직히 할 말이 없는데, 그래도 우리가 그런 문제를 알고는 써야 하지 않냐는 정도에서 토론이 끝난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요한 것은 우리 사회가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다. 결국 선택의 문제다"라고 말했다. 네이버 등 플랫폼 기업들에 대해 규제를 할 것인지, 한다면 어느 정도로 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이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원 교수는 책에서도 네이버의 성장 역사를 되짚고, ‘메가플랫폼'이 된 네이버의 사업확장 방식에 대한 사회적 견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용자들의 저작물이나 콘텐츠 뿐 아니라 데이터까지 샅샅이 흡수해 성장해 온 네이버가 이에 대한 충분한 사회적 기여를 하지 않고 있다며 네이버의 ‘플랫폼화'가 미칠 사회적 악영향에 대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네이버는 검색시장의 지배력을 바탕으로 각종 사업에 진출하면서 영역을 확장하며 성장해왔다.

"지금 네이버는 완전히 ‘장사터'가 됐다. 네이버의 공론장 역할이 사라졌다. 문제는 네이버의 성장이 결코 홀로 이룬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공적인 도움이 없었다면 네이버는 이처럼 크지 못했다. 이용자들이 네이버에 제공한 데이터들을 통해 네이버가 성장했다.

네이버는 이용자들이 생산한 지식iN이나 블로그 콘텐츠를 확보하면서 검색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었다. 또 언론사가 기사라는 정보를 네이버에 제공한 것도, 검색 대상이 되는 네이버의 데이터를 풍부하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큰 역할을 했다.

물론 네이버가 공짜로 사용한 건 아니다. 그렇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이용했다. 그러나 네이버는 이를 충분히 보상하지 않고 있다. 즉, 네이버의 성장은 ‘홀로' 이룬 것이 아니다. 네이버는 오직 자신의 공으로 성장했다는 생각을 버리고 사회적 기여를 어떻게 잘 해나갈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특히 이용자 데이터가 없으면 장사를 하기 어렵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 그것이 책을 쓴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데 네이버의 공적 책임이 크게 요구되는 데 비해, 네이버에 책임론을 제기하는 목소리는 높지 않다. 이 책을 통해 책임을 요구하는 논리를 정리하고 싶었다."

[기업분석] '네이버' 초기 단계 발전과정은 어땠을까? 포털 독점의 문제는?


- 네이버에 어떤 방식으로 책임을 지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미국에서는 빅테크에 그 힘의 크기만큼 책임을 지도록 할 방안을 치열하게 고민하고 있다. 이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나는 독과점법으로 빅테크 기업을 구조적으로 잘 정리하자는 것이다. 과거 기업분할에 뿌리를 둔 내용이다. 다른 하나는 빅테크 같은 기업의 성격을 ‘일반회사'가 아닌 ‘퍼블릭 유틸리티'. 곧 공적 기여를 하는 기업으로 바꿔서 사회적 통제를 하자는 내용이다. 사외이사 제도를 실질적으로 돌아가게 해서 사회적 통제를 할 수 있는 거버넌스 체제를 만드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 한국은 이 두 가지 방안 모두, 즉 빅테크 기업들에 책임을 요구하는 방식에 대해서 준비되고 있지 않은 듯하다.

특히 바이든 정부 철학에서 중요한 것은 독점을 바라보는 관점을 전환한 데 있다. 과거 공화당 정부에서는 소비가가 이익을 보면, 곧 후생이 늘어나면 독점은 용인될 수 있다고 봤다. 그러나 바이든은 플랫폼 기업의 특성상 멀리 보면 독과점으로 이어지면서 나타날 구조적 폐해들이 존재한다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바이든 행정부는 ‘구조적 통제'를 하자고 제안한다. 중요한 건 이 구조적 통제의 규제를 정교하게 잘 만드는 데 있다.

물론 우리도 미국식 규제 추진 방향을 반드시 따를 필요는 없다. 그러나 플랫폼 비즈니스는 그 유명한 ‘네트워크 효과'를 지녔기 때문에 독점의 DNA를 충분히 갖고 있다. 나중에 각 분야에서 주요 플랫폼 기업이 혼자만 남게 되면 이용자들과 생산자들 모두에게 불공정 거래의 영향력들이 나타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 FTC(공정거래위원회)의 규제 방향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기업분석] '네이버' 초기 단계 발전과정은 어땠을까? 포털 독점의 문제는?


- 한국 정부 부처들은 어떤 식의 규제를 고민해 볼 수 있나.

"공정거래위원회의 플랫폼 비즈니스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은 잘 알지 못한다. 다만 네이버의 사회적 책임을 제도적으로 논하기 위해선 방송통신위원회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플랫폼 비즈니스를 산업적으로 접근을 한다. 반면 방통위는 정치적· 사회적 접근을 할 수 있는 정부 기관이다.

또 시민사회의 역할과 체계적인 사회적 감시도 필요하다. 다만 현재는 플랫폼이 진출한 산업별로 대응하는 측면이 있다. 예를 들어 카카오택시 부분이 화두가 되면 택시업계에서만, 배달의민족이 화두가 되면 이를 배달업계에서 대응하는식이다. 이런 식으로 별도로 나눠서 대응하면 사회적 책임을 체계적으로 묻기 어렵다. 총괄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사회적 감시를 총체적으로, 논리적으로 하지 않으면 각종 사회문제들로 이어진다. 노동의 문제부터, 공론장 훼손의 문제, 기술로 인한 소외계층의 문제, 경쟁제한의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이어진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