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 NFT 의미, 특징, 전망, 장단점, 시장규모, 우려 등 총정리
1. NFT의 의미
NFT는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대체불가토큰’ 혹은 ‘대체불가능토큰’으로 번역됩니다.
대체가능(fungible)한 토큰들은 각기 동일한 가치와 기능을 가집니다. 명목화폐, 비트코인·이더리움 등의 통상적 암호화폐, 귀금속 등이 여기 해당합니다. 서로 교환이 가능하며, 동일 단위의 1:1 교환이 발생할 경우 사실상 교환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반면 대체불가능(non-fungible)한 토큰들은 각기 고유성을 지닙니다. 동일품이 아예 존재할 수 없는 항공권과 비슷합니다. 발권자, 비행편, 좌석위치 등이 전부 특정되어 있으니까요. NFT는 암호화된 거래내역을 블록체인에 영구적으로 남김으로써 고유성을 보장받습니다. 아무나 복제할 수 있는 ‘디지털 파일’에 대해서도 ‘고유 소유권’을 발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라는 점이 특정 개인이나 기관으로부터 임의의 인증을 받음으로써 고유성을 보장받는 전통 방식과 다릅니다. NFT 발행에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블록체인 플랫폼은 이더리움입니다. 이더리움과 같은 개방형 블록체인을 통해 NFT를 발행하면 고유성이 탈중앙적으로 보장된다는 의의도 추가됩니다. 물론 폐쇄형(허가형) 블록체인을 통해 발행된 NFT들도 존재합니다.
NFT는 발행 방식도 비트코인 등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NFT의 생성과 발행에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상에서 발행되는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721이라는 프레임워크가 널리 사용됩니다. 발행할 땐 똑같이 ERC-721을 쓰더라도, A가 가지고 있는 토큰과 B가 가지고 있는 가치가 서로 다릅니다. 반면 비트코인 등 다른 암호화폐 개념의 코인들은 ERC-20 등 NFT와는 다른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발행되며 1개당 가격이 같습니다.
즉 NFT를 작품에 적용하면 작품의 소유권과 거래이력이 명시되기 때문에 나만의 디지털 작품을 갖게 됩니다. NFT가 일종의 인증서가 되는 셈인데요. 원천적으로 복제를 불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썼으므로 가품이나 모조품도 나오기 어렵고 소장자만의 배타적인 독점권이 확실히 보장됩니다.
더해 블록체인 상에 NFT 출처와 발행시간, 소유자 내역 등의 정보가 공개되기 때문에 추적하기도 쉽습니다. 또 부분적인 소유권을 인정해 토큰을 ‘n분의 1’ 같은 형태로 나눠 유동적으로 거래 및 소유할 수 있는 것도 NFT의 장점으로 꼽힙니다.
2. NFT의 장점
1. 위조의 어려움
복제가 어렵기 때문에 희소성을 더 잘 보장할 수 있고, 위조품으로 인해 가치가 무너지지 않도록 보장한다.
2. 순환증가
게임을 예로 들면, 아이템이 NFT로 만들어지면 플레이어는 아이템의 진정한 소유권을 얻게 되고 NFT 경매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 가능하다.
3. 추적이 쉬움
블록체인의 데이터는 공개적이고 투명하며 누구나 NFT의 출처, 발행 시간 및 획수, 소유자 내역 및 기타 정보를 볼 수 있다.
4. 부분에 대한 소유권 인정
부분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해, 토큰을 1/n과 같은 형태로 나눠서 거래할 수 있다.
3. 왜 화제인가?
NFT 시장에 어마어마한 양의 자본이 들어오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 지난 11일(현지 시각) 크리스티 뉴욕 경매에서, ‘비플'(Beeple)로 불리는 마이크 윈켈만(Mike Winkelmann)의 JPEG 작품 ‘나날들: 첫 5000일'(Everydays: the First 5000 Days)은 6930만달러(한화 약 785억)에 낙찰되었다.
- 트위터 CEO 잭 도르시(Jack Dorsey)의 첫 트윗은 경매가 250만달러(약 27억원)을 경신했다.
- 가상의 고양이를 사고 파는 게임 크립토키티스(Cryptokitties), NBA 공인 하이라이트 영상 전용 거래 공간 NBA Top Shot 등을 비롯한 NFT 기반 플랫폼 서비스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렇듯 NFT가 적용되면 NFT에는 작품의 소유권과 거래 이력이 명시됩니다. 일종의 ‘디지털 정품·소유 인증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언급한 비플의 경매 사례에서 이를 낙찰받은 사람은 해당 NFT를 보유함으로써 재판매는 물론, 라이선스화, 배포도 물론 가능합니다.
NFT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디지털 사진과 영상, 트위터 트윗, 최근에는 콘서트 티켓과 게임 아이템에도 NFT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4. NFT 예술작품 만들기
NFT 거래소 계정을 만들고, 거기에 작품을 등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가 담긴 메타데이터가 추출됩니다. 메타데이터는 타임스탬프와 합해져 고유한 문자열로 만들어지는데요. 이렇게 탄생한 값은 가상 자산인 이더리움 토큰 형태로 발행됩니다.
즉 ‘NFT 예술’은 NFT 기술을 통해 작품을 만든다는 개념이 아니라, NFT를 통해 작품을 디지털 자산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타임스탬프는 어떤 데이터가 해당 시점에 실제로 존재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도장과도 같습니다. 어떤 작품에 타임스탬프가 탑재되면 겉보기엔 유사하더라도 생성된 토큰값은 완전히 다르게 나타나는데요. 위·변조를 해도 토큰값으로 걸러낼 수 있어서 유일무이한 작품임을 증명할 수 있죠.
5. NFT 예술품 거래 하기
일반 예술품들이 박물관이나 공인된 경매장 등에서 거래가 주로 이뤄지듯 NFT 예술품도 거래를 위한 플랫폼: 크립토펑크(Crytopunk), 에이싱크아트(Async Art) 등이 존재합니다.
작가들은 이들 플랫폼에 작품을 올리고, 구매자는 이를 보고 제품을 구입하거나 경매에 참가합니다. 거래 방식은 현금 거래도 있지만, 현재는 대다수가 암호화폐를 이용합니다. 그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암호화폐는 이더리움으로 이를 보유한 사람은 보관 지갑에 담긴 암호화폐를 이용해 경매 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를 이용한 전자경매의 경우 경매 과정과 구매자 등이 투명하게 공개된다는 것이 일반 예술품 경매와 차이입니다.
6. NFT 시장 규모는?
고유한 예술적 가치를 지닌 작품을 쉽게 거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무엇보다 막 떠오르는 시장에서 가상화폐처럼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기대심리까지 작용하고 있어 NFT 시장은 빠르게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NFT 분석 사이트인 NonFungible.com과 BNP파리바 라틀리에 연구소가 발행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달러가 쓰인 NFT 거래량은 2019년 6286만 달러에서 지난해 2억5085만 달러로 4배가량 폭증했습니다. NFT 판매, 보유 등에 쓰이는 디지털 지갑도 지난해 기준 전년 대비 두 배 늘어난 22만2179개로 집계됐는데요.
올해 성장세는 더욱 가파른데, 암호화폐 전문매체 댑레이더 집계에 따르면 지난 1월 7100만 달러에 달했던 NFT 시장 거래액은 2월에는 무려 3억4200만 달러까지 올랐습니다. 지난달 기준 거래 건수도 13만7927건이나 됐죠.
7. 향후 전망
NFT는 메타버스(metaverse) 등 새 트렌드와의 결합으로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됩니다. 메타버스 공간에서 NFT는 재화로 쓰입니다. 대표적으로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자 메타버스인 ‘디센트럴랜드’에선 토지(랜드)가 NFT입니다. 토지를 소유한 이용자는 건물도 지을 수 있습니다. 희소성이 있으므로 토지는 당연히 가치를 지니고, 게임 내 마켓플레이스에서 이 토지를 판매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 게임 ‘더 샌드박스’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게임 내 부동산 ‘랜드(LAND)’가 NFT이며, 현재 랜드는 판매 기간마다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8. NFT에 대한 우려들
- 투기 광풍 : ‘눈 먼 돈’의 비중이 신규 투기·투자의 장이 열림에 따라 적지 않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 법적 문제 : NFT의 발행에는 대상 파일에 대한 저작권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원작자가 모르는 사이에 본인의 작품이나 소유물이 NFT로 발행되어 거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NFT 소유권의 영구성과 원작의 저작권 시효의 충돌, NFT와 지식재산권의 관계, NFT와 묶여 거래된 저작권의 법적 실효성 등 각국 법원들의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한 여러 문제들이 산적해있습니다.
- 안전성 : 블록체인이 해킹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기술은 아니므로 NFT 위조·변조의 위험이 아예 없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소규모의 개방형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NFT들의 경우 더더욱 취약합니다.
- 영구성 : NFT를 통해 취득한 소유권은 반영구적이라고 볼 수 있겠으나, 소유대상의 ‘원본’이 소실될 우려는 언제든지 존재합니다. 최고 입찰가 27억을 넘긴 잭 도르시의 트윗의 경우, 그가 삭제 버튼을 누르거나 트위터가 서비스를 종료하면 ‘작품’의 원본이 하루아침에 사라질 수 있겠죠.
'IV. 정보기술학 (IT) > 8. AR, VR, 메타버스 (Metab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인간] 광고를 넘어서 상위 1% 전문가! 초거대 AI 탑재한 '다 잘하는' 가상인간의 진화 과정 들여다보기 (0) | 2022.09.13 |
---|---|
[제페토] 제페토란? 제페토 활용방법, 제페토 서비스 차별성 정리 (0) | 2022.01.25 |
[메타버스] 메타버스란, 메타버스 의미, 메타버스 전망 총정리 (0) | 2022.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