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 인문학 (Humanities)/3. 인물, 단체 연구 (Research on people, group)

[마틴루터킹] 마틴루터킹 일생, 마틴루터킹 업적, 마틴루터킹 리더십 총정리

by hlee100 2022. 1. 20.
반응형

[마틴루터킹] 마틴루터킹 일생, 마틴루터킹 업적, 마틴루터킹 리더십 총정리

 

[마틴루터킹] 마틴루터킹 일생, 마틴루터킹 업적, 마틴루터킹 리더십 총정리

 

 

 

1. 그는 누구인가?

 

1월 16일 월요일은 제 26회 마틴 루터 킹 목사의 날이다. 사실 미국 전역에서 기념하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여년 전이다. 미국 사회 근간에 깔려있는 인종차별주의 때문이다. 80년대 초 레이건 대통령의 주창으로 1986년부터 기리기 시작했지만 각 주 의회에서 이 연방 조례 통과를 미뤘고 유타 주에서는 2000년에야 기념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해프닝도 있었다.

 

킹 목사는 기독교 정신 이외에 인도의 정신적 아버지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 정신을 크게 존경하고 생활에서 실천하려 했다.

 

[마틴루터킹] 마틴루터킹 일생, 마틴루터킹 업적, 마틴루터킹 리더십 총정리

 

 

혼란의 1960년대 흑인들의 분노가 백인들의 기득권(旣得權) 침해를 하지 않을지에 대한 우려는 사회 불안정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실제 미국이 내전 상황으로 치달을 가능성까지 우려했다. 킹 목사가 이끄는 소위 프리덤 라이더(Freedom Riders)들은 비폭력 정신에 의거해 저항운동을 실천했다.

 

자칫 잘못하면 극단으로 치달을 수 있는 미국의 흑인 인권 운동을 주류 사회 담론으로 승화를 시켰던 점이 그가 미국인에게 존경받을 수 있는 이유이다.

 

[마틴루터킹] 마틴루터킹 일생, 마틴루터킹 업적, 마틴루터킹 리더십 총정리

 

 

 

2. 마틴 루터 킹의 생애, 그리고 업적

 

마틴 루터 킹(1929~1968)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유복한 집안의 흑인으로 태어났다. 그는 아버지 마틴 루터 킹 시니어(Martin Luther King Sr.)와 할아버지 제임스 킹, 증조부 나댠 번햄이 3대째 목사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경찰의 인종 차별에 당당하고 논리적으로 항의하는 아버지의 실천은 루터에게 옳지 않은 것을 보면 굴종하거나 침묵하지 말고 항의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했다.  변호사가 되고 싶었던 그는 아버지와 의견 충돌을 빚었다. 그 후 그는 목사가 되기로 결심하여 모어하우스 칼리지와 크로저 신학대학에서 학사학위를 마치고, 보스턴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와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목사가 된 이후 흑인들을 위한 인권운동을 시작했으며, 흑인이 백인과 동등한 시민권을 얻기 위한 운동을 펼쳐왔다. 그가 흑인 지도자로서 두각을 나타내게 된 사건이 있다. 1955년 12월 몽고메리에서 로자 파크스라는 흑인여성이 버스에서 백인 남자에게 자리를 양보하지 않아 시 경찰서에 체포, 연행당하는 사건이 발단이 되었다. 이는 흑백분리법의 일환으로 버스 안 백인과 흑인 좌석이 구별되어 있었던 것을 철폐하고자 11개월 동안 흑인들이 보이콧을 벌이게 되었다.

“폭력을 써서는 안됩니다. 원수를 사랑하고, 백인들이 우리에게 어떤 고난과 차별을 해도 우리는 그들을 사랑해야 합니다. 그들의 죄를 용서해줍시다.”

 

[마틴루터킹] 마틴루터킹 일생, 마틴루터킹 업적, 마틴루터킹 리더십 총정리

 

 

간디의 비폭력 무저항주의 사상을 군중에게 호소함으로써 흑인 민권운동의 상징적 인물로 부각되었다. 그 후에도 그는 인종화합을 위한 민권 운동으로 30여차례나 체포되었지만 비폭력 무저항운동에 대한 그의 신념에는 변함이 없었다.

60년대 미국은 내적으로는 민권운동과 블랙 파워 투쟁으로 사회 재구성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외적으로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수호한다는 명분으로 월남전을 치르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그는 점차 반전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정치적 필요성에 의한 명분 없는 전쟁은 많은 사상자만을 내며 길어지고 있었고 대학가에서는 반전운동이 시작되었으나 월남전 반대는 정치적 생명을 걸어야 했으므로 지도자급에서는 어느 누구도 공개적 반대 입장을 표명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킹 목사는 반전주의자로서 미국의 제국주의적 전쟁에 반대하고 나섰다. 그는 1963년부터 베트남 전쟁에의 파병을 반대하는 운동에도 동참했다.

 

“지금 미국 청년들이 아시아의 정글에서 전투를 하다 죽어가고 있습니다. 이 전쟁의 목적은 너무나 막연하기 때문에 여론이 들끓고 있습니다. 흔히들 이들의 희생은 민주주의를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사이공 정권과 그의 동맹세력도 명색으로는 민주주의를 내세우고 있으며 미국 흑인병사들은 민주주의를 누려본 경험이 없는 사람들입니다.”

그는 비폭력 저항과 인종차별 철폐 운동 외에도 근대 약소국의 식민지 해방 운동 등에 대한 자료를 찾으며 인권운동의 전개과정에 대해 오래도록 연구하였다. 그는 모든 인간은 한 형제라는 사해동포주의 사상에 적극 공감하였다.

그는 민주사회주의자로써 “세상은 왜 빈곤이 있는가?”를 고민했고 대학생 시절 마르크스의 공산주의 선언, 자본론 등을 읽었다. 그 결과 미국의 인종차별을 종식시키기 위한 비폭력저항운동으로 1964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1968년에 과격파 백인단체의 인물인 제임스 얼 레이에게 암살당한다. 그의 죽음에 수많은 사람들이 슬퍼했고 미국 전역에서 킹 목사의 죽음에 분노한 흑인들의 폭동이 일어났다. 이는 흑인 지도자들의 자제 요청과, 수 천명의 군인, 경찰이 출동하면서 시위대는 저절로 해산되었다.

 

[마틴루터킹] 마틴루터킹 일생, 마틴루터킹 업적, 마틴루터킹 리더십 총정리

 

 

3. 마틴루터킹의 리더십

 

그는 미국의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태어난 개신교 목사이며 비폭력 흑인 인권 운동가인데, 왜 그는 미국 역사상 미국의 역대 위대한 대통령과 함께 어깨를 나란히 존경 받는 위대한 리더가 된 것일까?

그는 20세기 후반부에 일어난 미국의 흑인 인종차별 철폐 운동의 아이콘으로 평가 받을 정도로 인권운동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그 이유는 어느 대통령 못지않게 미국인에게 꿈과 희망을 꿈꾸게 만든 인물이며, 갈등과 분열의 미국을 화합과 포용의 미국으로 거듭나게 이끈 리더이기 때문이다.

마틴 루터 킹을 오늘날 가장 추앙 받는 리더가 되게 만든 사건은 바로 그의 평화 대행진 연설에 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나의 네 자식들이 이 나라에 살면서 피부색으로 평가되지 않고 인격으로 평가 받게 되는 날이 오는 꿈입니다.”

(I have a dream that my four little children will one day live in a nation where they will not be judged by the color of their skin, but by the content of their character.)

“어둠으로 어둠을 몰아낼 수는 없습니다. 오직 빛으로만 할 수 있습니다. 증오로 증오를 몰아낼 수는 없습니다. 오직 사랑만이 그것을 할 수 있습니다.”

(Darkness cannot drive out darkness only light can do that. Hate cannot drive out hate only love can do that)

 

[마틴루터킹] 마틴루터킹 일생, 마틴루터킹 업적, 마틴루터킹 리더십 총정리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연설이 있은 지 1년이 채 지나지 않은 1964년 7월 인종, 민족, 종교, 남녀 등의 차이에 따른 차별을 불법화한 미국 민권법이 제정됐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그의 이름을 딴 국가공휴일(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날)을 제정해 1986년부터 1월 셋째 월요일마다 기념행사를 펼치고 있다. 미국 730개 도시에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생겼고, 곳곳에 기념관이 들어섰으며, 2011년 8월 워싱턴DC 내셔널몰에 대형 석상이 세워졌다. 그는 흑인들의 인권과 인종차별 철폐라는 인류애적 가치를 위해 헌신한 인물이었으며 모든 흑인들의 영웅이었다.

 

킹의 생은 짧았지만 강렬하고 다채로웠다. 예수의 산상수훈, 간디의 무저항주의, 소로의 시민 불복종, 보스턴대학 인격주의 학파의 철학적 이상주의, 미국식 자유민주주의가 융합되어 형성된 그의 비폭력 저항운동을 지지하는 이들이 아주 많았다. 그러나 그를 반대하는 이들도 많았다. 흑인을 여전히 열등하게 취급하는 남부의 백인 우월주의자들, 민권운동으로 사회를 어지럽힌다는 북부 백인 기독교인들, 비폭력 시위로는 실제 필요한 결과를 얻어 내지 못한다고 느낀 과격한 흑인 운동가들, 흑인 인권 운동을 반전운동으로 확장해 국가를 배반한다고 비난한 이들 등. 그러나 "산 정상에 오른"  그에게는 이것들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