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신경] 미주신경 정의, 위치, 구조, 기능 총정리
1. 정의
12쌍의 뇌신경 중 열번째에 해당되는 뇌신경으로, 심장, 폐, 부신, 소화관 등의 무의식적인 운동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의 부교감 신경 가지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목 부근에서 결장의 일부까지 운동 부교감신경 섬유를 제공하며, 골격근의 운동 조절, 심박수 조절, 장의 연동운동 등에 관여합니다.
미주신경(Vagus nerve)은 우리몸에서 가장 길고 넓게 퍼져 있는 신경이 되며 신경계의 핵심중에 하나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몸에는 12 쌍의 뇌신경(cranial nerves)이 있게 되고 각각의 고유기능이 있게된다. 미주신경은 뇌신경의 10번째 신경이 되며 위와 폐에서 발견된다 하여 공기신경(pneumatic nerve)이라고 한다.
미주신경은 뇌(brain), 목(throat), 흉곽(thorax), 폐(lungs), 심장(heart), 위(stomach), 복부근육(abdominal muscles)및 그외에도 여러 다른 장기에 걸쳐 퍼져있게 된다.
미주신경은 몸전체로 신호를 내보내게 되고 다시 뇌로 되돌려 받게된다. 부교감신경계(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을 자극하고 면역세포(immune cells), 장기(organs), 조직(tissues), 줄기세포(stem cell) 의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와주게 된다. 심장박동(heartbeat), 언어능력(speech), 땀(persipiration), 혈압(blood pressure), 소화과정(process of digestion), 포도당의 생산(production of glucose), 호흡(breathing)등을 규제하게 되며 장기들의 출력(output)을 도와줄뿐만 아니라 몸전체에서 일어나는 몸의 변화에 대한 감각정보를 중추신경계(cenrtral nervous system)로 보내는 구심신경(求心神經-afferent nerves)의 90%을 차지하게 된다.
2. 위치
미주신경은 뇌간의 연수에 위치하여 흉강과 복강으로 줄기가 이어져 있고, 몸 전체를 관할하게 된다.
(1). 머리 (In the Head)
미주신경은 뇌간(brainstem)의 연수(medulla)에서 나온 잔가지로 시작하여 경정맥(jugular foraman)통해 인두신경(pharyngeal nerve)을 지나 내장(viscera)에 연결되게 되면 뇌와 내장의 소통을 돕게 된다. 두개골 양쪽옆에 청각가지(auricular branch)를 통과하는 미주 운동신경은 목, 후두, 인두, 식도에 신경을 제공하게 되고 삼킴, 말하기, 기침등과 같은 활동을 돕게 된다.
뇌 안에서 미주신경 새로운 뇌신경세포 생성에도 책임지게 되면서 뇌세포에 좋은 음식물에서 영양분을 공급받도록 한다. 이를 통해 손상이 있는 신경세포를 고칠뿐 아니라 줄기세포(stem cell)를 자극하여 새로운세포의 생성을 촉진하게 한다. 미주신경은 신경전달물질인 산소아스틸렌(oxyacetylene)을 사용하는 부교감신경계(parasympathic nervous system)을 통제하기도 하는데 산소아스텔린은 학습(learning), 기억(memory), 휴식(relaxation)등을 일으키게 한다. 휴식에 대한 메세지를 미주신경을 통해 몸전체로 보내지면서 휴식을 취하게 하면서 스트레스로 여파로 오는 염증도 낮추게 한다.
(2). 목(In the Neck)
미주신경은 목혈관신경집(carotid sheath)의 내부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ies)을 수직적으로 내려와서 목바닥의 내부경정맥(internal jugular vein)의 가운데로 향하게 되고 이곳에서 각기다른 루트인 좌와 우 신경계를 따라 몸전체로 내려가게 된다. 목에서 여러 기지로 내려가게 되는데 아래와 같다.
1). 인두가지(Pharyngeal Braches) - 인두와 입천장근육(soft plate muscles)로 나누게 된다.
2). 상후두신경(Superior Laryngeal Nerve) - 내부가지(internal brancehes)와 외부가지(external branches)로 나누게 되는데 내부가지는 인두와 후두 위쪽에 신경을 공급하게 되고 외부가지는 인두의 갑상선근육에 신경을 공급하게 된다.
3). 반회신경(Recurrent Laryngeal Nerve) - 미주신경의 제 1분열(first division)은 반회신경에서 일어나게 되는데 반회신경은 내재후두근신경구조(intrinsic laryngeal muscle structure)에 신경을 책임지며 기도(trachea)와 식도(esophagus)에 위치하게 된다. 반회신경은 아레로 내려가면서 오른쪽과 왼쪽으로 갈라지게 된다. 왼쪽가지는 ligamentum arteriole 로 오른쪽은 subglass artery로 나누게 된다. 역주후두신경(recurrent laryngeal nerve) 은 대부분 후두근육(larynx muscle) 에 신경을 공급하게 게 된다. 음식을 먹게되면 후두신경이 음식물이 통과하도록 성대근육의 운동을 돕게되며 기침반사(cough reflex)가 있을 경우 성문(glottis)을 닥도록 허락한다. 역주신경에 부상은 성대의 마비를 일으키게 된다.
(3). 폐(In the Lungs)
미주신경의 페에 갈라지는 가지는 폐앞쪽과 둿쪽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앞가지는 폐앞 바닥변을 통과하며 교감신경계 망상(sympathic plexus)와 앞쪽 폐망상의 가지와 연결이 되게 된다. 둿쪽가지(posterior branch)는 폐의 둿쪽표면을 따라 이어지게 되며 3번과 4번의 흉부신경절(thoracic ganglia)과 연결이 되게 된다. 폐의 불수의적기능(involuntary functions)은 미주신경과 기타신경의 가지를 통해 통제를 받게 된다.
(4). 심장(In the Heart)
심장의 부교감섬유(parasympathetic fiber)가 부분적으로 미주신경과 흉부신경절에 통제를 받게된다. 오른쪽 미주신경이 SA node 에 왼쪽신경이 AV node 와 연결이 된다. 미주신경은 심장박동을 모니터 하고 적절한 박동을 유지하도록 도와주게 된다. 1분에 90정도에 박동을 하도록 하며 필요시 신경에서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고 혈압을 낮추거나 심장박동을 낮추게 한다.
(5). 위(In the Stomach)
미주신경은 위에서 복잡한 소화과정을 도와주게 되는데 위근육에 신호를 보내 압축을 하게 하고 소장으로 내보내도록 한다. 미주신경이 부상을 당했을 경우 음식물이 소장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위에서 정체를 하게 된다. 신경은 소화계의 화학적수치(chemical levels)을 조절하여 어느정도의 영양분을 섭취할것인가를 결정하기도 한다. 또한 위가 충만할 경우 미주신경을 통해 뇌로 연락을 취하게 되며 , 맛에 대한 감각이나 배고픔에 대한 것도 인식하는것을 도와주게 된다. 당뇨환자의 경우 설탕의 수치가 높고 제대로 조절이 안될 경우 미주신경에 손상을 주게 된다.
미주신경의 장애는 두가지로나눌수 있게 되는데 기능이나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과도하게 활동이 오는 경우로 나누게 된다. 과도하게 활동이 있을 경우 졸도를 하게 되고 제대로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메스꺼움, 위통, 체중감소, 심장박동을 약화시키게 된다.
3. 구조
뇌신경 중 가장 길고 복잡하게 분포하는 신경으로, 연수로부터 나온 신경섬유가 흉강과 복강의 기관들(위, 장, 폐)로 가지가 연결됩니다. 다른 뇌신경과는 달리 신체 전반으로 뻗어 나갑니다. 신경의 분포 범위가 광범위하여 미주신경으로 불립니다.
4. 기능
신경섬유는 인후, 후두와 복부, 흉부의 내장으로부터의 감각 정보와 운동 흥분을 전달합니다. 미주신경의 감각신경섬유는 혈압 조절 및 일부 미각을 담당하며, 대부분의 운동신경섬유는 소화기계 활동과 호흡 활동, 규칙적인 심장 활동에 관여합니다. 경부에서는 목구멍 안의 후두와 샘을 조절하고, 흉부에서는 위장관에 관여하여 소화액이 분비되도록 합니다. 특히 미주신경 분지는 식도 주위로 내려오면서 복강의 각 장기에 분포하여 골반강 내의 장기를 제외한 모든 복강 내 모든 장기에 분포합니다.
5. 헬스팁
(1). 미주신경 자극술 (VNS, Vagus nerve stimulation)
미주신경을 전기로 자극하였을 때 뇌전증 발작의 횟수와 정도가 현저히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기존의 수술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환자에서 뇌전증을 조절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전신 마취 후 왼쪽 목부위에 미주신경 자극 전극을 삽입하고, 전기자극 발생 장치를 왼쪽 가슴 피하 부위에 넣어 서로 연결합니다. 전기자극 발생 장치는 리모콘을 통해 몸 밖에서 조절합니다.
삽입 후 1주일 후부터 미주신경을 자극하기 시작하며, 각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자극 방법을 찾아 조절합니다. 주로 자극 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되지만, 환자가 발작의 전조를 느낄 때에는 수동으로 자극을 줄 수도 있습니다.
전극 삽입 후 환자에 따라 목의 통증, 쉰 목소리, 연하 곤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면 자극의 정도를 낮춥니다. 몸 안에 삽입한 자극기의 밧데리 수명은 자극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약 10년 정도입니다.
(2). 기립경사검사(Tilt test)
원인불명의 어지러움증이나 실신을 경험한 환자에게 주로 시행하는 검사로 미주신경성 실신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환자를 침대에 눕히고 침대를 70도 각도로 세워 25분간 혈압, 맥박, 심전도 등을 관찰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