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notary
- airbnb
- immigrant visa
- airbnb host
- 이민
- 수련 기록
- 만화 도전
- 공부자
- 미국이민
- 정법 공부
- 카툰 초보
- Interview
- 정법 일지
- 갖춤
- 정법공부
- Perm
- 공부자의 자세
- 정법
- 영주권
- 공부 일지
- 공부 자세
- 꿈 해몽
- 만화 초보
- 이민비자
- 이민 서류
- 인터뷰
- wordpress
- 수련 일지
- immigration
- 수련
- Today
- 81
- Total
- 29,560
목록정법사회연구활동 : 6.2016 (38)
HI Project
이 사회에서는 같은 곳에 일을 가서 같은 일을 하면, 같은 시간을 일하고 같은 수당을 받게 돼 있습니다. 두 사람이 컵을 만들러 일을 갑니다. 한 사람은 먹고 살려고 가는 사람이 있고, 한 사람은 컵을 쓸 사람을 위해 일을 가는 사람이 있습니다. 후자는 컵을 쓸 사람을 위해 시간을 쓰는데, 월급도 나오니, 내 삶도 자동적으로 살아지는 겁니다. 같은 일을 하고 있으니 전자는 사인이고, 후자는 공인입니다. 공인은 날이 가면 갈수록, 지혜가 넘쳐나고, 아..
이 시대에는 경제가 많으면 많은 부호일수록 답답해서 죽을 지경입니다. 앞으로 부호들은 그냥 놔두면 됩니다. 본인의 역할을 열심히 했지, 아무런 죄가 없습니다. 그러나 이 경제를 지혜롭고 바르게 쓸 인재가 없으면 가장 갑갑한 것이 또한 이 부호입니다. 이런 음의 힘이 필요한 겁니다.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모든 것을 아우르며 운영하는 지식, 지혜, 내조, 여성, 내공 등이 모두 음의 힘입니다. 이 사람들은 끊임없이 인재를 찾고 있습니다. 경제를 많이 ..
투표는 바쁜 일상생활에도 시간을 내어서 투표장에 갈 정도의 관심과 민주시민의식이 있어 국가의 결정에 동참하려는 사람들이 해야 하기 때문에, 투표장을 두고 투표하는 문화가 이어져야 합니다.인터넷이나 모바일로 투표를 하는 것은 그 한 표의 권리를 잘 모르는 사람들도 아무렇게나 동참하기 때문에 바르고 깨끗한 의견이 수렴하기 어려울 수 있기 떄문입니다.꼭 투표하고 싶은 사람이 없어도 동참해야 합니다. 투표할 만한 인물이 없다고 생각되면 아무도 선택하지 않은..
나를 위해 살기보다는, 남을 이롭게 하기 위해 나의 인생을 불태우며 사는 자가 공인입니다. 홍익인간이 공인입니다. 홍익인간은 나를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남을 이롭게 하는데 내 인생을 바치고 살 때 , 내 개인적인 삶은 덤으로 스스로 살아지는 자입니다. 고로, 지도자는 백성들을 위해서 사는 자여야 합니다. 대통령도 마찬가지입니다. 대통령 자리는 공인이 된 자가 앉는 자리입니다. 이런 공인의 잣대로 본다면, 현재 대통령은 공인이 아니라, ..
대개 여성의 내조라 함은 남편에게 현모양처의 역할을 하면서, 남편이 바깥 일을 하고 들어오면 편히 쉴 수 있도록 식사 준비를 하고 필요한 대화도 나누는 등의 집안일로 생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집안 일에 귀속된 내조 말고 더욱 크고 정확한 의미의 "내조"를 이해하기 위해 대통령 영부인의 역할을 예로 들어보도록 한다.대통령 직계인 장관, 총리 등의 급들은 국가를 위해 일을 하는 데 이념이 같기 때문에 거의 가족과도 다름 없는 개념이다. 대통령 부인의 ..
제도권 교육에서 약사가 되기 위한 교육과정에서는 각 약의 특징과 효능이 무엇이며, 환자에 따라 어떻게 약을 맞춰줄 것인지에 대한 지식을 배운다. 하지만 진정한 약사가 되기 위해서는 한 가지를 더 습득해야 한다. 이는 사회에 나가서 이 분야 일을 하면서 아픈 사람들을 접하면서 10년 동안 얻게 되는 자료들을 토대로한 실질적인 고급지식들이다. 이 환자는 왜 몸이 이렇게 아파졌을까? 이 환자들의 근원적인 공통점은 무엇인가? 약을 줘서 어느정도 낫게는 했지..
715 ~ 718강 약사직업제도권 교육에서 약사가 되기 위한 교육과정에서는 각 약의 특징과 효능이 무엇이며, 환자에 따라 어떻게 약을 맞춰줄 것인지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배운다. 하지만 진정한 약사가 되기 위해서는 한가지를 더 습득해야 한다. 이는 사회에 나가서 이 분야 일을 하면서 아픈 사람들을 접하면서 10년 동안 얻게 되는 자료들을 토대로한 실질적인 고급지식들이다. 이 환자는 왜 몸이 이렇게 아파졌을까? 이 환자들의 근원적인 공통점은 무..
7984강 100세 인생에 있어 1인 가구의 의미과거에는 공원에서, 기차에서 등 만나기도 했습니다. 요즘은 그런 곳에서 먼저 말을 걸면 작업거는 줄 알고 거리를 두고 가버립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기차타고 가면 될까요? 내가 옷 매무새든, 인상이 참 좋습니다. 현재 이 사회에서 조금 품질있는 사람으로 보일 때, 관심이 가게 되어 있습니다. 결혼을 안하고 싶어서 안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 드는 사람이 없어서 안하는 겁니다. 관심이 가고 껌하나라도 같..
4055강 불평과 텃세여기에 처음 일으킬때부터 같이 고생을 했으면, 그 힘이 같이 있는 겁니다. 처음에는 맨손으로 풀도 뽑고 몇 년을 그렇게 했습니다. 몇년 후에 누가 오니, 환경이 좋습니다. 그래서 자기도 있으려 합니다. 자기도 있으려고 들어와놓고 자기 맘에 안 든다고 자꾸 불평을 하고 말을 꺼냅니다. 먼저 처음부터 노력해놓은 사람들이 있었으니, 지금 환경이 좋은 것이지, 처음에 왔으면 그렇게 좋은 것도 아닙니다. 그러니 그것을 존중하고 처음부터 ..